석재본드는 어떤 것을 써야 할까?

자재로
2025년 02월 26일

석재본드는 어떤 것을 써야 할까?

건축 현장이나 인테리어 시공시 석재 작업을 위해 석재본드가 필요한데요. 석재는 무겁고 단단해 시멘트나 일반 접착제만으로는 고정이 어려워, 특수한 본드를 사용해 고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시중에는 다양한 종류의 석재본드가 있어, 어떤 제품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될 때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석재본드의 종류와 선택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석재본드의 종류와 특징

석재본드는 크게 에폭시 타입, 폴리우레탄 타입, 시멘트 타입으로 나뉩니다. 각각의 본드는 접착력, 탄성, 내구성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시공 환경과 석재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각 석재본드의 특징과 어떤 현장에 적합한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에폭시 타입

먼저 에폭시 타입은 강력한 접착력과 내구성을 자랑하는 본드입니다. 주제와 경화제를 섞어 사용하는 2액형 구조로, 경화 과정에서 석재와 시공면을 단단하게 결합해 줍니다. 내수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나 욕실이나 주방처럼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접착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리석, 화강암 등 무거운 석재를 시공할 때 적합하며, 실내·외 어디에서나 안정적인 접착력을 발휘합니다. 다만, 경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미리 고려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폴리우레탄 타입

폴리우레탄 타입은 탄성이 우수한 석재본드로, 석재의 미세한 움직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외부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반응하는 특성 덕분에 외벽 시공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장소에 적합합니다.


또한, 내열성과 내후성이 뛰어나 기온 변화가 큰 실외 환경에서도 장기간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작업 시 단일 성분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한 편이지만, 경화 후에는 재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신중하게 시공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3) 시멘트 타입

마지막으로 시멘트 타입은 석재와 시멘트를 함께 사용해 접착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바닥 타일 시공과 같이 강한 고정력이 필요한 작업에 적합하며, 비교적 경제적인 비용으로 시공이 가능합니다.


다만, 사용 환경이나 양생 조건에 따라 균열이 생길 수 있어 보강 작업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경화 시간이 다른 본드 타입에 비해 비교적 길어 시공 후 충분한 양생 시간을 가지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세가지 석재본드 타입을 살펴봤는데요, 결론적으로, 시공 환경과 석재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석재본드를 선택해야 합니다. 습한 환경이거나 무거운 석재라면 에폭시 타입을, 외벽이나 탄성이 필요한 작업에는 폴리우레탄 타입을, 바닥과 같이 고정력이 중요한 시공에는 시멘트 타입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테리어 시공시, 공간별 석재본드 선택

위에서 살펴봤듯이 적합한 석재본드를 선택하기 위해선 시공 환경, 석재의 무게와 크기, 작업 편의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시공 공간의 습도와 온도, 석재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한 본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욕실과 주방처럼 습도가 높은 공간에서는 내수성이 뛰어난 에폭시 타입이 가장 안전합니다. 에폭시 본드는 물과 접촉해도 접착력이 유지되고, 무거운 대리석과 화강암 같은 석재도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합니다.


거실과 복도는 난방으로 인해 온도 변화가 잦고, 이동 동선이 많은 공간입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보행 충격과 열로 인한 석재의 팽창과 수축을 흡수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타입본드가 적합합니다. 폴리우레탄 본드는 뛰어난 탄성 덕분에 석재의 미세한 움직임을 완화하고, 지속적인 온도 변화 속에서도 안정적인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 무겁고 두꺼운 석재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시멘트 타입본드가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합니다. 다만, 시멘트 본드는 탄성이 부족해 온도 변화에 따라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보완하려면 “시멘트 타입 본드와 보강재(예: 섬유 메쉬)”를 함께 사용하거나, 접착력과 탄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본드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방법입니다. 특히 온돌 난방 환경에서는 시공 후 충분한 양생 기간을 확보해 접착력을 안정화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석재본드 타입별 제품

시중에서 많이 사용하는 석재본드는 시공 환경과 작업 방식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이번 단락에서는 각 작업 환경별 선호되는 대표적인 석재본드 종류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에폭시 타입 (내수성·강력한 접착력)

  • 듀라본드(Durabond): 강력한 접착력과 내수성으로 욕실과 주방처럼 습한 환경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세라픽스(Cerapix): 대리석, 화강암 등 무거운 석재 시공 시 안정적인 접착력을 제공해 인테리어와 외부 시공에 적합합니다.
  • 힐티(Hilti): 내구성이 뛰어나 외부 환경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하는 고품질 본드로, 상업용 시공에 자주 활용됩니다.


2. 폴리우레탄 타입 (탄성·온도변화 대응)

  • 씰렉스(Silex): 온돌 난방 환경에서도 균열 없이 유지되어 거실과 복도 시공에 적합합니다.
  • 3M 폴리우레탄 본드: 작업성이 좋아 시공이 편리하고, 보행량이 많은 공간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 시카 PU 본드(Sika Polyurethane Bond): 외부 시공에서도 탄성을 유지해 균열과 박리를 최소화하는 제품으로, 다양한 환경에 적용 가능합니다.


3. 시멘트 타입 (강한 고정력·경제성)

  • 삼화시멘트 석재본드: 경제적이면서 고정력이 뛰어나 바닥 시공과 벽 타일 부착에 자주 사용됩니다.
  • 한일시멘트 타일본드: 시멘트 기반의 강한 접착력과 내구성으로 넓은 면적의 석재 시공에 적합합니다.


4. 하이브리드 타입 (접착력·탄성 균형)

  • 타이탄(Tytan), 덴브럭스(Den Braven): 에폭시와 폴리우레탄의 장점을 결합해 강력한 접착력과 탄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제품입니다. 실내·외 어디서나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며, 특히 온돌 난방이 적용된 한국 환경에서도 균열과 박리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최근 시공 현장에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에폭시 타입의 듀라본드와 세라픽스, 폴리우레탄 타입의 씰렉스와 3M 본드, 시멘트 타입의 삼화시멘트와 한일시멘트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타이탄과 덴브럭스와 같은 하이브리드 본드도 많이 찾고 있는 추세입니다.



석재 시공의 완성도와 내구성은 적절한 석재본드를 사용하여 높일 수 있습니다. 쉽고 빠른 인테리어 자재발주 서비스, 자재로에서, 시공에 최적화된 다양한 석재본드를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해 보세요


자재로에서 제공중인 접착제

주식회사 스타키움  |  대표 : 이정완  |  사업자등록번호 : 899-87-01114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8-성남분당B-0210 
주소 :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331번길 8 (정자동, 킨스타워), 20층 11호  |  TEL : 1666-7099  |  Email : alexpark@zzro.kr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 BY 자재로 홈페이지제작